Wiznet makers

bruno

Published November 21, 2025 ©

120 UCC

14 WCC

29 VAR

0 Contests

0 Followers

0 Following

Original Link

Realtek Ameba IoT와 WIZnet, 생각보다 가까운 사이

Wi-Fi MCU 플랫폼 속에서 다시 확인된 WIZnet Ethernet의 자리

COMPONENTS
PROJECT DESCRIPTION

 Wi-Fi MCU 플랫폼 속에서 다시 확인된 WIZnet Ethernet의 자리

WIZnet 고객 여러분은 주로 이더넷이 필요한 제품/프로젝트에서 우리 칩과 모듈을 사용해 오셨을 겁니다.
그런데 요즘은 시장 전반이 Wi-Fi 중심의 IoT MCU로도 많이 이동하고 있죠.

그 흐름 속에서 최근 흥미로운 점 하나가 보입니다.

Realtek의 Ameba IoT용 Micropython 코드 안에
WIZnet 이더넷 보드와 드라이버 지원이 그대로 들어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Realtek Ameba IoT가 어떤 플랫폼인지,

그 안에서 왜 WIZnet이 등장하는지,

그리고 우리 고객에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를 천천히, 쉽게 풀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ealtek Ameba IoT – 어떤 플랫폼인가?

1) Wi-Fi/BLE가 기본으로 들어간 IoT MCU

Ameba IoT는 Realtek에서 만든 Wi-Fi/BLE 내장형 MCU 패밀리입니다.
대표적으로 이런 특징을 가집니다.

2.4GHz 또는 듀얼밴드 Wi-Fi 내장

일부 제품은 BLE 5.0 지원

GPIO, UART, SPI, I2C, PWM 등 일반 MCU 기능 포함

저전력 설계로 배터리 기반 IoT 기기에 적합

한마디로,

“Wi-Fi가 기본 장착된 마이크로컨트롤러”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개발 환경이 다양하다

Ameba 계열 보드는 여러 개발 환경을 지원합니다.

C 기반의 공식 SDK

Arduino 호환 (Ameba용 보드 패키지 제공)

Micropython 포트 (Python 문법으로 개발 가능)

여기서 이번 글의 주인공은 바로 이 Micropython 포트입니다.


2. Ameba용 Micropython 속에서 발견된 WIZnet

Realtek은 Ameba 플랫폼을 위해 Micropython을 포크해서 자체 리포지토리(예: ambiot/micropython)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코드 안에서 wiznet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나옵니다.

Wiznet W5500-EVB-Pico 보드 설정 파일들

보드 이름, 플래시 크기, 핀맵, 보드 사진 등의 정보

network.WIZNET5K 드라이버 코드

W5100S, W5200, W5300, W5500 같은 WIZnet 이더넷 칩 지원

STM32, ESP32, RP2040 포트 쪽 설정

WIZnet 이더넷을 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들

이걸 보고 “Realtek가 우리 칩을 자사 SoC에 직접 붙였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실제 구조는 조금 다릅니다.

Micropython이 원래 WIZnet을 품고 있다

핵심은 이겁니다.

Micropython 자체가
이미 WIZnet 이더넷 칩과 W5500-EVB-Pico 보드를 공식 지원하고 있습니다.

Realtek은 이 Micropython 프로젝트를 Ameba용으로 가져와서 포크한 것이고,

그 과정에서 WIZnet 관련 코드도 그대로 유지된 상태입니다.

정리하면,

Realtek가 특별히 WIZnet을 새로 넣은 것이 아니라,
Micropython에서 당연히 들어 있는 이더넷 지원 중 하나로 WIZnet이 계속 따라 들어온 것입니다.

하지만 WIZnet 입장에서 보면, 이 “당연함”이 꽤 중요합니다.


3. 이게 WIZnet 고객에게 왜 의미가 있을까?

1) Wi-Fi 중심 플랫폼에서도 “이더넷 = WIZnet”을 유지할 수 있다

Ameba는 기본적으로 Wi-Fi MCU 플랫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icropython 환경 안에서는 여전히:

네트워크 예제 중 하나로 WIZnet 이더넷이 등장하고,

문서와 코드 속에 W5500, WIZNET5K가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말은 곧,

앞으로 Ameba + Wi-Fi가 메인인 프로젝트라도,
필요하다면 WIZnet 이더넷을 곁다리 옵션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선택지로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구성이 가능해집니다.

설정/OTA 업데이트는 Wi-Fi

중요한 데이터 업로드는 **Ethernet(WIZnet)**으로

현장에서는 Ethernet 포트를 기본으로 쓰고,
필요 시 Wi-Fi를 백업 경로로 활용

같은 구조는 산업용, 빌딩 관리, 보안 장비 등에 꽤 자주 등장하는 패턴입니다.

2) 기존 WIZnet 경험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미 W5500-EVB-Pico나 W5100 계열 칩을 사용해 본 고객이라면,

Micropython의 network.WIZNET5K 인터페이스,

데이터 송수신 패턴,

초기화 방식

에 익숙하실 수 있습니다.

Ameba용 Micropython에서도 이 인터페이스 개념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즉, 완전히 새로운 네트워크 스택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알던 방식 그대로, 보드는 새로워지고,
무선(Wi-Fi/BLE) 기능이 곁에 붙는 느낌”

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교육·데모·콘텐츠로 확장하기 좋다

WIZnet 고객 중에는:

교육 기관,

사내 교육 담당자,

세미나/워크숍용 데모를 만드는 개발자

도 많이 계십니다.

이분들 입장에서 Ameba + Micropython + WIZnet 조합은 이런 장점이 있습니다.

Python 문법으로 코드를 보여줄 수 있어 진입장벽이 낮다

무선(Wi-Fi)과 유선(Ethernet)의 차이/특징을 한 번에 설명하기 좋다

한 강의/한 실습 안에서

“Wi-Fi로 접속하는 방법”과

“Ethernet으로 접속하는 방법”
을 모두 다룰 수 있다

이건 자연스럽게 동영상 강의, 블로그 글, GitHub 예제로 이어지기 좋은 소재입니다.


4. 실제로 어떻게 활용해 볼 수 있을까?

아래는 WIZnet 고객이 바로 떠올려 볼 수 있는 몇 가지 아이디어입니다.

아이디어 1) 하이브리드 IoT 노드

메인 MCU: Realtek Ameba (Wi-Fi 내장)

유선 통신: W5500 또는 W5100S 모듈

펌웨어: Micropython

구현 예:

평소에는 Ethernet으로만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 장애 시, Wi-Fi로 임시 접속 또는 설정용 AP 오픈

펌웨어 업데이트는 Wi-Fi + HTTP,
데이터 업로드는 Ethernet + TCP/MQTT 등

아이디어 2) 교육용 “네트워크 비교” 실습 키트

같은 센서 데이터를

한 번은 Wi-Fi로 클라우드에 보내고

한 번은 WIZnet Ethernet으로 보내서

속도·안정성·설정 난이도 등을 비교 체험

이걸 Micropython 코드 몇 줄 차이로 구현하면,
학생이나 동료 개발자가 “아, 둘 다 써보니 이런 차이가 있구나”를 직관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3)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 경로

기존에 WIZnet 기반 Ethernet 전용 장비를 가지고 계신 고객이라면:

설정 페이지나 로그 뷰어를 Wi-Fi로도 접근 가능하게 만들고,

핵심 데이터 전송은 기존과 같이 Ethernet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Ameba + WIZnet 조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때 Micropython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빠르게 기능을 검증하는 용도로도 유용합니다.


5. 마무리 – “Wi-Fi 시대에도 WIZnet은 여전히 쓸모가 있다”

정리하자면,

Realtek Ameba IoT
Wi-Fi/BLE가 통합된 요즘 스타일의 IoT MCU이고,

이 Ameba용 Micropython 코드 안에서
WIZnet 이더넷 보드와 드라이버가 자연스럽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플랫폼에서도
WIZnet Ethernet이 여전히 기본 선택지 중 하나로 취급된다는 신호입니다.

WIZnet 고객 입장에서는,

새로운 MCU/플랫폼을 쓸 때도 기존 경험을 살릴 수 있고,

유선(Ethernet) + 무선(Wi-Fi)의 장점을 동시에 가져가는 설계가 더 쉬워졌으며,

교육·데모·콘텐츠 관점에서도 활용 소재가 늘어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Documents
  • https://github.com/ambiot

Comments 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