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Zed Chronicles: SCU35 and Accelerometer.
MicroZed Chronicles: SCU35 and Accelerometer.
AMD - scu35
x 1
Adam Taylor의 Linkedin에 2개월 전 어느 한 글이 올라옵니다. 가속도계의 데이터를 Ethernet으로 모니터링 하는 프로젝트를 설계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시기에 조금 더 자세한 게시글이 올라옵니다. 꽤 많은 좋아요와 댓글들이 달렸고, 의미있는 댓글들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간단하게 내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Vivado는 Xilinx FPGA 하드웨어 설계 Tool입니다.
- MicroBlaze V는 Xilinx FPGA의 core 이름입니다.
- AXI는 ARM이 만든 AMBA 버스 프로토콜 중 하나로, FPGA나 SoC 내부에서 프로세서 ↔ 주변장치(IP) 를 연결하는 초고속 내부 버스 표준입니다.
정리하자면 "MicroBlaze V + AXI QSPI IP 구성을 쓴 시스템에서 W5500을 구동하는 전체 C 드라이버 코드를 ChatGPT5가 대신 써 주도록 시켰다” 는 얘기입니다.
그렇게 GPT가 써 준 code로 간단하게 FPGA에서 Ethernet을 연결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서 주의해야할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SCU35라고하는 위의 모듈입니다.
AMD에서 제작한 SCU35모듈은 기본적으로 Xilinx FPGA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해당 FPGA로 다양한 센서동작을 테스트 할 수 있는 Dev 보드입니다.
눈에 띄는 것은 Ethernet 기능이 이미 나와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W5500으로 Ethernet을 사용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즉, FPGA 리소스 최적화(Resource Optimization) 때문에 W5500을 사용한다.
Xlinx고유의 Ethernet을 쓰려면
- AXI Ethernet Lite
- LWIP 스택
- DMA/버퍼
- 메모리 대량 사용
- FPGA 로직 자원 소모
이런 요소들이 필요해서 FPGA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이 많이 듭니다.
반면 W5500(Eth-Wizard Click)은 하드웨어 TCP/IP 엔진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SPI 인터페이스 + 간단한 드라이버만 있으면 동작
MicroBlaze V 부담 최소화
FPGA 논리 자원 거의 사용 안 함
→ 즉 작고 단순한 프로젝트에는 훨씬 효율적
위에서 보여드렸던 AMD사의 SCU35 보드에 W5500은 ETH WIZ CLICK이라는 개발보드 형식으로 장착됩니다. 해당 보드는 MIKROE 사의 MicroBUS라는 Platform으로 개발되었습니다.
AMD의 SCU32는 2025-08-14에 공식 릴리즈가 됐습니다. AMD의 SCU35 개발보드에 Arduino, Raspberry Pi와 함께 MIKROE 플랫폼이 채택되었다는 점은, 앞으로 MIKROE 생태계의 활용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Xlinx는 2022년에 AMD에 인수되었습니다.
Project
위에서 이미 많은 얘기를 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대해선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자세한 FW와 관련된 내용들은 Github를 통해 저장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얘기했던대로, 가속도계와 관련된 내용은 이미 Vivado tool에서 맞출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Click 슬롯 2는 Etherrnet 보드를 의미합니다. 해당 FW는 GPT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었고, 동작도 어느정도 한다는 내용입니다.
가속도 센서에서 나온 데이터를 Ethernet으로 보내기 위한 프로젝트였고, 자기가 실행한 방법으로 FPGA 리소스를 크게 할당하지 않고 Ethernet통신을 할 수 있는 좋은 프로젝트였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결론
- AMD사가 Xilinx의 Dev board 출시 - Raspberry Pi, Arduino, MICROE Platform 채택
- MICROE사의 ETH WIZ CLICK 사용
- FPGA 리소스 때문에 W5500사용 - 어렵고 복잡한 과정 X, 쉽게 Ethernet 연결
- FPGA에서 쉽게 W5500을 사용하여 Ethernet 사용법을 Guide해주면 좋을 것으로 보임
(*저자는 ChatGPT를 이용해서 했지만, 우려성 댓글이 많이 보임. 문서 보고 다시하라고...)
